본문 바로가기

비트코인

암호화폐 분석과 전망및 내생각

반응형

암호화폐 전망

암호화폐 전망

8월은 암호화폐 시장의 특징인 변동성이 가진 장점과 단점을 모두 보여주는 한 달이었던 것 같습니다. 전체적인 시장의 흐름은 8월에는 사실 다른 달에 비하면 금리 결정이 없었기 때문에, 어느 정도 회복세를 보여줄 것이라는 의견들이 분분했고, 7월의 소비자 물가지수(CPI)와 생산자 물가지수(CPI)가 예상치보다 하회하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상당히 고무적인 차트를 보여주었습니다.

전 세계 비트코인 거래의 70%를 처리하던 거래소

그러나 8월 중순이 넘어서부터 하락세로 전환이 되었는데, 이 원인에는 먼저 마운틴 곡스의 해킹 물량을 분배하겠다는 것이 하락의 시작이었습니다. 마운틴 곡스는 일본의 암호화폐 거래소였는데, 거의 전 세계 비트코인 거래의 70%를 처리하던 때가 있던 큰 거래소였습니다. 그러다가 14년에 비트코인 85만 개를 해킹당해 파산을 하게 되었는데, 여기서 차후에 해커를 추적하는 과정에서 비트코인이 폭등하고, 해킹범도 검거함에 따라 그때에 피해를 받았던 투자자들에게 보상을 해준다고 발표했었는데, 그것을 8월 내로 하겠다는 발표가 나오면서, 그 물량이 시장에 나오면 비트코인이 폭락할 것이라는 말과 함께 큰 하락을 하게 되었습니다. 그 이외에도 선물 시장이 현물 시장을 선도한 것과 채굴자들이 길었던 하락세를 지나 약 반등이 올 때 더 이상 버티지 못하고, 채굴 물량을 수익화시킨 것을 원인으로 보고 있는 전문가들이 많습니다. 상승세가 짙어지다 보니 여기서 추세 전환을 노리는 자금들이 공매도 쪽에 서게 되면서, 시장의 전체를 흔들고 이것이 나비효과와 같이 더욱 크게 불어와 19일 하루의 큰 하락을 만들어낸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또한 지난 잭슨홀 미팅과 제롬 파월의 연설에서 7월의 물가지수가 상승세를 멈춘 것은 안도할 일이지만, 그렇다고 기조를 바꾸어서 금리를 내리거나, 유지하는 것은 향후에 다시 위기를 초래하는 것과 같은 일이라는 의견을 통해 여전히 9월에 금리를 인상할 것이라는 계획을 밀고 나갈 것이라고 말한 덕에 투자 시장이 전체적으로 하락하는 분위기였습니다. 이더리움 옵션 또한 이더리움 같은 경우 변동폭이 비트코인보다 훨씬 큰 상황에서 큰 상승세를 보여주다가 하루에도 10% 이상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등 앞으로의 시장을 더욱 예측하기는 어려워진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이더리움 머지로 인해 많은 기대를 받고 있는 모습으로 9월에는 어느 정도 향방이 나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현재까지 9월이 다가올수록 다시 어느 정도 반등을 하고 있지만, 9월은 대부분 하락세를 보여주는 한 달입니다. 특히 2017년부터는 현재까지 꾸준히 하락세를 보여주었으며, 그 하락세는 5~13%까지 꽤나 큰 폭입니다. 지난 10년간 매월 암호화폐 추세 그리고 9월을 딛고 10월부터 천천히 회복하며 보통 4분기에 정점을 한 번 찍어주는 것이 암호화폐 시장인데, 이번은 암호화폐 시장이 나름대로 자산으로써의 인정을 받기 시작하면서부터 세계 경제 흐름의 영향을 많이 받다 보니, 이번의 시장의 움직임은 4분기의 상승세를 확신할 수 없게 되는 것 같습니다.

앞으로의 전망

현재는 대부분 9월의 금리 결정의 일정도 있다 보니, 전체적으로 하락장을 보는 경우가 많지만, 개인적은 횡보장을 생각합니다. 또한 잭슨홀 미팅 이후에도, 현재까지 조금씩 회복하는 모습으로 보아 역으로 9월은 바닥을 찍고 다시 한번 상승세를 보여줄 수 있을 것이라는 의견들이 존재합니다. 시카고 상품거래소(CME) 그룹 페드 워치에 따르면, 트레이더들은 미 연준이 9월 기준금리를 75bp 인상할 확률을 72.5%로 점치고 있다. 앞서 지난주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높은 인플레이션이 통제되고 있다고 확신할 때까지 높은 수준의 기준금리가 유지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의견들이 분분한 것으로 보아 사실 변수가 많다는 것이 이번 달의 큰 흐름이 아닐까 싶습니다. 기관의 움직임도 체크하면서 전체적인 흐름을 보면서 투자를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또한 9월에 금리가 75bp 인상할 것이라는 의견이 우세하기 때문에 그때는 잠시 피해 가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또한 한 가지 이슈는 국내에서 신고하지 않은 글로벌 거래소들을 법을 어겼다 지적하며 차단할 것이라는 발표가 있었기 때문에, 앞으로 국내 시장에서의 해외 거래가 좀 더 힘들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해당 거래소는 KuCoin, MEXC, Phemex, XT.com, Bitrue, ZB.com, Bitglobal, CoinW, CoinEX, AAX, ZoomEX, Poloniex, BTCEX, BTCC, DigiFinex, Pionex으로 현재까지 발표되었습니다.

반응형